초록 close

한국의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출신 국가나 민족 특성을 기준으로 볼 때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집단은 재한 중국동포 결혼이주여성이다. 이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동포 결혼이주여성의 특성과 노동시장에서의 경험, 역할 수행과 대처를 포함한 총체적인 취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정책적 방안과 취업을 위한 역량 함양 등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개인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한 중국동포 출신결혼이주여성들은 능숙한 한국어 구사능력과 중국어 구사능력으로 인하여 직업현장에 많이 노출되어 있었다. 그들은 다양한 구직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취업 관련 교육 상담 등을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공장이나 일용직 근무 경험이 있었으며 현재 역시 저임금 불안한 직장에 머물고 있었다. 그들의 취업 경험은 한국사회 경력단절 여성취직의 한계점과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전반적인 여성취업에 대한 기회가 확대되어야만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난도 함께 해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필요 및 욕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을 고려해볼 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직업기초능력 강화를 우선시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mong Korean women who are married, the group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based on the country or ethnic characteristics of their origin is Korean-Chinese. This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of ethnic Koreans in China, their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their overall employment experience, including their role performance and handling, and sought suggestions such as policy measures for married women and capacity building for employment. Eight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Korean-Chinese marriage migrants were exposed to the job scene a lot because of their proficiency in Korean and Chinese. They were working for various jobs and had experience using job-related education and counseling. Most of them had experience working in factories and daily jobs, and they were currently staying in low-paying, insecure jobs. Their employment experience has been the same as the Korean society's career cut-off female employment, suggesting that the difficulty of marriage-based women's employment can be solved together only when the overall opportunities for women's employment are expanded. Considering the growing need and desir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ioritiz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rough strengthening basic vocational skills in order to promote continued and stable economic participation.


키워드close

재한 중국동포결혼이주여성, 취업 경험현상학                           

Korean-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Job experience, Phenome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