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close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어 모어 화자(VNS)와 한국어 모어 화자(KNS)의 거절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문화·언어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의 거절 전략에서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화용 교육 설계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두 집단의 거절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는 화행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담화완성형설문지(DCT, Discourse Completion Test)의 자료수집 방법을 활용하여 20명의 VNS와 20명의 KNS를 대상으로 거절화행 전략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NS와 VNS의 거절전략 사용 양상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관련해서 두 집단은 모두 직접 거절전략보다 간접 거절전략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화-청자의 친소관계에 따라 두 집단의 거절절략 사용 양상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VNS는 KNS에 비해 친한 관계일수록 직접적이거나 단호적 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베트남어에서는 나타나지 않거나, 반대로 한국인이 안 쓰지만 베트남인에게는 유용한 거절전략이 존재하고 있듯이, 화행교육에서 이러한 각 언어권의 특색이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fusal speech act strategies of Vietnamese Native Speakers (VNS) and Korean Native Speakers (KNS).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focusing on cultural and linguistic aspects with comparative viewpoint.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o compare the patterns of refusal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looked at the refusal strategy patterns of 20 VNS and 20 KNS using the data collection method from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speech act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ith regard to the overall tendency of the use of refusal strategies by the KNS and VNS, both groups were confirm that they preferred indirect refusal strategies over direct refusal strategies. Secondly, differences emerged in the usage patterns of refusal strategies i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participants, where VNS showed that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as, the more direct or determined refusal strategies were used than KNS did. Thirdly, as there are refusal strategie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n but not used in Vietnamese, or be useful to Vietnamese but not used by Korean, the education of refusal speech act should be focused on cultural characteristics in every language.


키워드close

Korean language, Vietnamese language, refusal speech act, cross culture, pragm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