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close

이 연구는 채은희・박미숙(2019)의 선행연구에서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던 176편의 논문을 활용하여 ‘노후준비’에서 나타난 주제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노후준비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함의를 이끌어내는 것에 의의가 있다. 176편의 논문 중 주제어가 탐색된 논문은 총 156편이며 주제어 발생 건수는 659건이 되었다. 탐색된 자료 중 2건 이상 발생된 주제어를 분류 정리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어 나타났다. 예상대로 주제어 중 ‘노후준비’가 전체의 10.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삶의 만족도, 베이비부머, 경제적 노후준비, 노후준비도, 베이비부머 세대 순이었다. 또한 탐색된 주제어를 범주화하여 분류하였을 때, 노후준비 내용과 그 대상과 시기, 연구 분석 내용으로 나누어 나타남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준비에 관한 한국의 선행연구들은 노후준비가 개인적 차원에서의 삶의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 자기효능감 등과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후준비는 인간 삶의 질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는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의 노후준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개인의 삶의 질 개선이라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노력과 보다 더 이른 시기부터의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words related to ‘old age preparation’ using 176 papers which were used as research data in Eunhie Chae & Misuk Park (2019).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reparing for old age and drawing appropriate social implications for it. Among 176 papers, 156 papers were found in which the subject words were searched, and 659 subjects were found. When the same subject words were found more than tw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expected, ‘old age preparation’ accounted for 10.8% of the total, followed by life satisfaction, baby boomer, economic old age preparation. Also, when the searched subject words were categorized and categorized, they were divided into old age preparation contents, subject and timing, and research analysis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old age preparation i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successful aging, and self-efficacy. The preparation of old age, which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human life, should be educated at the national level. Preparation for old age requires preparation from an earlier time with personal effort.


키워드close

Old Age Preparation, Precedent Research, Keyword Analysis, Life Satisfaction, Baby Boo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