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Q 방법론을 적용하고, 좋은 글에 대한 인식의 주관성 유형을 탐색하였다. 78개의 Q 진술문을 투입하여 P 표본 64명의 주관성 유형을 분석한 결과, 좋은 글에 대한 인식은 다음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요인 1(n=22): 독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글이 좋은 글이다. 요인 2(n=13): 체계적이고 명료한 짜임을 지닌 글이 좋은 글이다. 요인 3(n=4): 참신하고 독창적인 글이 좋은 글이다. 요인 4(n=9): 정서적 울림이 있는 글이 좋은 글이다. 요인 5(n=7): 잘 읽히는 글이 좋은 글이다. 요인 6(n=4): 인상적인 표현이 담긴 글이 좋은 글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식의 주관성 유형별로 좋은 글에 대하여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진술문을 분석하여 개별 요인의 특성을 살펴 보고, 점수 편차가 큰 진술문들을 분석하여 요인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형별로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안적 처방을 보여 주었으며, 후속적인 문제의식을 이어가기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subjectivity types for “Good written text” using Q methodology. Of the recognition of 64 P samples for 78 Q statements, six types of subjectivity were found: Factor 1 (n=22): Text that changes the reader in the desired direction Factor 2 (n=13): Text with a structured and clear organization Factor 3 (n=4): Text with novelty and originality Factor 4 (n=9): Text of ideas with emotional attributes Factor 5 (n=7): Text read without cognitive burden Factor 6 (n=4): Text with impressive expre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tors by analyzing statements that agree or disagree with good texts by subjective type of recognition, and explained the differences between factors by analyzing statements with high score deviations. Further, expected problems and alternative prescriptions were shown for each type, and suggestions for conducting subsequent studies were drawn.


키워드

(Good) Written Text, Pre-service Language Arts Teachers, Subjectivity, Q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