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중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 사고도구어 능력’과 ‘교과서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사고도구어 검사지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사고도구어 능력을 양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하위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교과서 읽기 능력 정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중학교 3학년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를 말뭉치화한 후 기초어휘와 사고도구어의 비율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기초어휘는 개별 어휘 비율로는 전체의 6.54%밖에 되지 않지만, 교과서 전체 어휘의 41%를, 사고도구어는 개별 어휘 비율이 7.3%밖에 되지 않지만 전체의 20%를 커버하였다. 사고도구어 검사 결과 학습자의 평균 점수는 16.97점(25점 만점)으로 나타나 평균 점수가 만점의 70%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사고도구어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서 20% 정도의 텍스트 점유율을 보였다. 학습자들의 사고도구어 능력을 임계치 이론(Threshold Hypothesis)으로 해석한 결과, 사고도구어 능력은 교과서 읽기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능력이었다. 사고도구어 능력이 하(下)에 속하는 학습자들은 사고도구어에 주목하여 교과서를 읽지 않아 교과서의 내용을 섬세하게 이해하는 데 실패하고 있었다.


This paper developed academic vocabulary test to quantitatively evaluate learners’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nd qualitatively analyzed learners’ reading ability. First, textbook for 3rd grade middle school were made into a corpus, and the ratio of basic vocabulary and academic vocabulary. As a result, basic vocabulary accounts for only 6.54% of the total individual vocabulary, but covered 41% of the textbook. Academic vocabulary only account for 7.3% of the total individual vocabulary, but covered 20% of the textbook. As a result of the academic vocabulary test, the average score of learners was 16.97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did not reach 70% of the perfect score. Academic vocabulary showed a 20% coverage of textbook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e learners’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s Threshold Hypothesis, the academic vocabulary ability was the core ability to decide whether to read textbooks. Learners whose academic vocabulary ability are lower can not read the textbook by paying attention to academic vocabulary, failing to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textbook.


키워드

Vocabulary Test, Academic Vocabulary, Text Coverage, Threshold Theory, Textbook Read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