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1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 석 ‧ 박사학위 논문 93편을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대상 독서치료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4편의 문헌에서 다룬 분석 준거를 검토하였고,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치료프로그램의 범주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생활과 관련된 독서치료는 석사학위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2014년부터 논문 편수가 감소하였다. 독서치료 전공 외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심리 ‧ 치료학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3~5학년에 집중되어있고, 고등학교로 갈수록 낮아졌다. 대상자 수는 11~20명 범위로 선정한 연구가 많으며, 주로 문제가 나타나지 않은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혼합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발달적‧ 예방적 치료프로그램 연구가 많고, 프로그램의 목적을 정의적 측면으로 설정한 연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ibliotherapy related to school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bibliotherapy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doing so, it analyzes 93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riteria from four studies on domestic bibliotherapy research trends, and analyze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treatment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ibliotherapy related to school life has been most actively studied in the course of master’s degrees, and the number of dissertations has decreased since 2014. Bibliotherap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and psychotherapy.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i.e., clients) were mainly in the third to fif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number decreased as they went to high school. The client number in a therapy group was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11 to 20. Further, bibliotherapy has been mainly conducted for students who did not have clinical problems. Quantitative and mixed research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programs were major, and the purpose of the programs was predominantly affective. Consequently,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related to bibliotherapy research for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esented.


키워드

Bibliotherapy, Group Therapy, School, Student, Schoo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