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문학치료에서의 공감 경험으로 인한 대학생들의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정체성의 변화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향후 대학생 대상 정체성을 고려한 공감 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나장함(2008)의 질적 메타분석 연구방법의 절차를 근거로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총 5편을 분석 대상 연구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결과로서 첫째, 개인적 정체성 변화 과정에서 기술적 주제는 ‘진정한 나 자신에 대한 이해와 깨달음’, ‘타자에 대한 이해와 인정’과 종합적 주제는 ‘공감을 통한 시각 확대’로 도출되었고, 사회적 정체성 변화 과정에서 기술적 주제는 ‘관계맺기의 즐거움’, ‘타자지향적인 삶 추구’이며, 종합적 주제로는 ‘공감을 통한 관계 확대’로도출되었다. 이에 총 기술적 주제 4가지, 종합적 주제 2가지로 도출되었다. 본 결과를통해 문학치료 참여 속에서 공감 경험이 대학생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정체성 형성에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대학생 정체성을 고려한 공감 기반 다양한문학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fo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due to empathy experience in literary therapy, and is meaningful in developing and using literature therapy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A total of five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studies to be analyzed based on the procedure of Na, Jangham(2008) qualitative meta-analysis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The technical topics in the process of personal identity change were ‘real understanding and enlightenment of myself’ and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others’, and the comprehensive theme was ‘expanding perspective through empathy’. The technical topics in the process of social identity change were ‘joy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seeking a other-oriented life’, and the comprehensive theme was ‘expanding relationships through empathy’, resulting in a total of four technical topics and two comprehensive topics.Through this result, empathy experience in participation in literary therapy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a healthy and stable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and various empathy-based literary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tudied in the future.

키워드

Literature Therapy, Empathy Experience, University Student Identity, Qualitative Meta-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