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경기꿈의대학 참여 교수자의 수업실행 과정에 대해 행위자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꿈의대학 참여 교수자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서면 면담과 개별 면담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으며, 강의계획서와 연구보고서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자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반성적 사고와 교수자로서의 발전을 꿈꾸는 미래지향적인 면이 상호소통함으로써 교수자 행위자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교수자들은 경기꿈의대학이라는 구조적 맥락에서 성찰적 주체로서의 행위자성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에 대한 연민과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환경 속에서 상호소통을 통한 성취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이들의 상호소통적 행위자성이 강화되었다. 셋째, 교육적 맥락에서 정답이 아닌 ‘방법’을 알려주는 수업을 운영하고자 하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신자유주의적 교육 기조 사이에서 딜레마를 경험했다. 또한 학생 이외의 참여 주체와의 상호소통 부족의 아쉬움을 표현하였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경기꿈의대학이 진정한 마을교육공동체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참여 주체가 행위자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호소통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공동체가 신자유주의적 교육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적 현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gency of the participating instructors of the Gyeonggi Dream Campus, focusing on the mutual communication proces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after selecting five instructors from the Gyeonggi Dream Campu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ion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written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lecture plans and research reports were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s reflective thinking from past experiences and the future-oriented aspect of developing as a instructor interacted and influenced the present agent. The reason is that the instructors are required to act as reflective subjects in the structural context of Gyeonggi Dream Campus. Second, based on compassion and understanding for students, they tried to achieve achievement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in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ir interactive agency was strengthened in th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ird, in an educational context, they wanted to run a class that showed a method that was not the right answer, but they experienced a dilemma in the extant neoliberal educational foundations. In addition, it expressed the regret of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participants other than students. To establish itself as a tru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t is necessary Gyeonggi Dream Campus provides opportunities for mutual communication where various participants can exercise their agency.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break away from the neoliberal educational paradigm and respond to the social reality in which various cultures coexist.



키워드

Gyeonggi Dream Campus, Instructor Agency,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novation Education, Qualitativ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