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통계청 2020년 혼인 이혼통계(2021.3.18) 에 따르면, 2020년 한해 다문화 이혼 가정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8.7년이다. 한국인 이혼 가정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이 17.4년인 것과 비교하면 다문화 가정에서의 결혼생활 지속성이 현저히 낮다. 더불어 2021년의 외국인과의 이혼율은 6.2%이며,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가 4.3%, 남편이 외국인인 경우가 1.9%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의 다문화 이혼 가정의 이혼 이유를 탐색하기 위하여, 결혼이주 후 이혼한 3명의 여성의 재영토화 과정에 나타난 갈등의 요소와 이를 극복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 A는 한국에 적응하려는 접속을 시도했으나 ‘돈 주고 사온 사람’으로 대우하는 남편의 태도에 좌절되어이혼하였고, 자신이 인정받기 위해 일하고, 아이들을 양육하고, 재혼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 B는 어머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공장에서 함께 일하던 남편과 결혼하는 등의 능동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폭력적으로 변한 남편과 이혼을 하고, 낮에 공장일과 식당일을 다 소화해내며 자녀를 키우는 삶을 살아내고 있다. 연구참여자C는 남편이 폭력적인 데도 아이를 위해 참았으나, 오히려 남편에게 이혼당하여 소송을 통해 위자료를 받을 수 있었다. A는 접속과 이접, 통접의 반응이 모두 나타났고, B는 주로 접속과 이접의 반응만 있었으며, C는 접속과 이접, 통접의 반응이 모두 있었으나 주로 접속의 반응이 많았다. 결혼 이주는 완전히 다른 영토로의 이동이므로 재영토화가 불가피하며, 이러한 재영토화 과정에 관한 인지가 한국의 정주민 가정과 한국으로 오는 이주민 여성 모두에게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2020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2021.3.18), the average marriage period for multicultural divorced families in 2020 is 8.7 years. the average marriage period of Korean divorced families is 17.4 years. In addition, the divorce rat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21 is 6.2%, with 4.3% of wives being foreigners and 1.9% of husbands being foreigners.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reasons for divorce of multicultural divorced families when their wives are foreigners, the factors of conflict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were examined in The Re- Territorial Process of three women who divorced after migrant marriage. The research participant A tried to connect to Korea, but was frustrated by her husband’s attitude of treating her as a ‘money- buying person’, and divorced, and worked to recognize herself. The research participant B showed active reactions such as marrying her husband who worked together at the factory despite the dissuade of her mother, but she divorced her husband who changed violently. The research participant C endured husband’s violent for the child, but rather was divorced by the husband. Marriage migration is a move to a completely different territory, so Re-Territorialization is inevitable, and awareness of this Re- Territorial Process is necessary for both Korean residents and migrant women coming to Korea.



키워드

Migrant Women Divorce experience, Deleuze and Guattari, Reterritorialization, Narrative Lif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