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1)
pp.27~58

DOI : 10.30974/kaice.2021.10.1.002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관심기반 실행모형을 기반으로 -

이재창

(경인여자대학교􀀁유아교육학과, 시간강사)

김현수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과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면설문지 및 온라인 설문 홍보를 통해 무선표집으로 전국 17개 초등학교의 교사 총 175명을 수집한 후,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행 다문화교육 연수들은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과 약하게나마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현행 다문화교육 연수들의 타당성이나 효과를 간접적으로나마 입증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전혀 없는 교사들도 53.1%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를 1회만 하는 경우가 전체 교사의 30.9%로 나타났고 2회 이수부터는 5.7%로 급격히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연수를 이수하는 경우에는 30시간 분량의 연수를 이수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30시간 분량의 연수를 이수한 경우가 18.3%. 15시간 분량의 연수를 이수한 경우가 9.1%, 60시간 분량의 연수를 이수한 경우가 7.4%로 나타났다. 반대로 2시간 분량의 연수를 이수한 경우는 2.3%, 4시간 분량은 1.1%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현행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횟수는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중 중급수준인 4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행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시간은 중급수준인 4수준과 최고급수준인 7수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초등교사들의 현재 학급 내 이주배경 학생 수는 4수준과 6수준에서 효과가 있었다. 일곱쨰, 다문화교육 업무담당 경력은 4수준과 7수준에서 효과를 보였다.

A Study on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Comple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Level of Ado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Lee, Jae Chang

Kim, Hyun Su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level of ado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completion on the level of ado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To do this, we conducted the survey first and then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nomia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wed a little bit of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ado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It seems that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have been at least proven indirectly. Second, it was found that 53.1% of teachers had no experience of complet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hird, we confirmed that 30.9% of all teachers took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nly once and the number of completing more than twice sharply dropped to 5.7%. Fourth, in case of the completion of program, the rate of completing with 30-hour program was the highest. 18.3% of teachers completed the 30-hour program, 9.1% completed 15-hour program and 7.4% completed 60-hour program.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the completion rate of 2-hour program was 2.3% and 4-hour program was 1.1%. Fifth,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ompletion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level 4, which is an intermediate level among level of ado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pletion hour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were effective in the level 4, which is an intermediate level and the level 7, which is the highest level. Sixth,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the background of migration was effective in the level 4 and the level 6. Seventh, it was found that work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effective in the level 4 and the level 7.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