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2)
pp.71~99

DOI : 10.30974/kaice.2022.11.6.004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장벽인식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계층별 영향요인과 집단별 진로결정성 차이

곽은정

(성결대학교 박사)

이수경

(성결대학교 조교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장벽을 낮추고 진로결정성을 높이기 위해 진로 장벽인식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분 류된 집단에 따른 진로결정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8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진로장벽인식 잠 재집단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집단에 따른 영향 요인 탐 색을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재집단에 따른 진로결 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진로장벽인 식 잠재집단은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진로장벽인식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자아존중감, 성취동기는 진로장벽인식을 낮추는 요인으로, 모의 출신국, 고등학교 유형, 모의 진로관련 행동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문화수용태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한국문화수용태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했으나, 외국 문화수용태도, 성별, 가구소득은 진로장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 째, 잠재집단에 따른 고등학교 이후 진로결정성은 진로장벽 인식 수준이 낮은 집단일 수록 진로미결정 수준이 낮았으며, 모든 집단에서 국내대학진학으로 결정한 비율이 가 장 높았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장벽을 낮추고 적응적인 진로발달과 진로 결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심리·행동적 요인 및 이중문화 요인을 적극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진로에 관한 추후 연구에 학문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진로장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적·상담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by Career Barrie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Class Influencing Factors, and Differences in Career Determination by Classification

Kwak, Eun-Jeung

Lee, Soo-Kyoung

This study classified groups according to career barrier perception, explored factors affecting each group, and examined differences in career determination according to each categorized group to reduce career barriers and enhance career decisions that serve as obstacl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study, the eighth datase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latent groups for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latent group.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areer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latent group.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for career barrier perception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lowest- to low-career barrier perception group, middle-career barrier perception group, high-career barrier perception group, and highest-career barrier perception group. Second,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barrier perception groups,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lower career barrier perception, while high school type and the mother’s country of origin and career-related behavior were deeply affected. The accepting attitude of Korean culture, which is a sub-factor of bicultural acceptance, was partially meaningful, but foreign culture acceptance attitude, gender, and household income did not affect career barriers. Third and last, for career determination after high school for the latent group, the lower the level of awareness of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groups chose to attend domestic univers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actively utilize bicultural factors to lower career barrier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enhance adaptive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