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멘토링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 멘토링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함과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11개의 연구물을 선정하였으며, 6단계에 걸쳐 개별 연구물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멘토링 참여 경험의 핵심 의미는 ‘멘티와의 만남을 통한 비판적 성찰’로 도출되었다. 비판적 성찰은 개인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성찰은 멘토를 성장하게 하는 본질적 경험이 되었다. 다문화 멘토링 참여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긍정적 변화로 나타나고, 멘티를 둘러싼 구조적 모순을 깨달아 사회를 비판적으로 대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멘토링이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구체화하는 실천적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멘토를 위한 체계적 교육 및 지원 체제 확립과 멘토링 내용과 형식의 다양성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멘토링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재고와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to find ways to develop multicultural mentoring. In this study, a total of 11 studies were selected by apply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individual stud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6 steps. As a result, the cor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mentoring was derived as ‘critical reflection through contact with the mentee’. Critical reflection took place in the individual and social domains, and reflection became an essential experience for mentors to grow.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mentoring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way of thinking about recognizing multicultural society and members, realizing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surrounding the mentee, and showing an attitude to openly accept the multicultural society.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emphasized that multicultural mentoring should be an educational practice that embodies the ess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ed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for mentors and to seek diversity in mentoring contents and forms.


키워드

multicultural mentoring, mentoring, college students, qualitative eta-analysis